촬영 단계에서 획득한 영상의 밝기, 색상, 채도 등의 차이를 후반 업에서 일치시키는 과정으로
현장위주의 교육을 통하여 전문 디지털 영상컬러리스트를 육성
Digital Intermediate, 즉 D.I는 촬영 단계에서 획득한 영상의 밝기, 색상, 채도 등의 차이를
후반 작업(postproduction)에서 일치시키는 과정으로, 색보정(color correction) 등을 포함한 전반적인 교정 작업을 의미하며,
색보정 뿐만 아니라 합성작업까지 또는 낮에 찍은 화면을 밤으로 만드는 등의 컴퓨터 그래픽을 활용한 기술 기반까지 포함하고 있습니다.
국내 DI 전문 컬러리스트가 부족한 현실에서 현장위주의 교육을 통하여 전문 디지털 영상컬러리스트를 육성하고,
고가의 첨단장비로 구축된 시스템화 된 기계적 작업 역량 뿐 아니라 Creative Power 까지 갖춘 인재를 목표로 경쟁력을 키울 수 있도록 교육합니다.
커리큘럼 단계별 개요
STEP 1 |
프리미어 & 애프터이펙트의 기초 |
- 프리미어 인터페이스 연구 / 작업영역과 결과물 분석 - 에프터이펙트 인터페이스 |
STEP 2 |
프리미어 & 애프터이펙트의 기초 |
시간과 공간의 문제 / 체계 세우기 |
기초 프리미어 + 애프터이펙트 |
작업의 흐름과 작업공간 | |
STEP 3 |
프리미어 & 애프터이펙트의 이해 |
- 효과적인 화면구성 연구 / 움직임의 원리 - 다중 컴포지션의 활용 / 마스크 & 트랙매트 |
STEP 4 | 애니메이션 | 패런팅 애니메이션 / 타이포 애니메이션 / 쉐이프 애니메이션 |
STEP 5 | 애니메이션 |
- 2.5D 애니메이션(1) / 2.5D 애니메이션(2) - 모션 트랙킹 |
STEP 6 |
DaVinci for PHOTOGRAPHER |
다빈치리졸브 기반한 영상편집, 오디오믹싱, 영상 색보정 |
STEP 7 |
olor Technology & Colorist Strategy |
디지털 컬러 기술을 바탕으로 컬러리스트 이론과 색보정 툴 |
STEP 8 |
Learning to Grade with Resolve |
다빈치 리졸브를 사용한 색보정의 개념과 활용 |
STEP 9 |
Advanced Resolve Grading Techniques |
DaVinci Resolve Studio 소프트웨어 환경에서 블랙매직 디자인 사의 전문 컨트롤 패널을 사용한 실습 |
수업이 곧 현장이다
- 일반적 교육기관에서 가르치는 툴 방식의 교육이 아닌 실무 중심의 교육
- 학기 중에, 현업에서 활동 중이신 교수님들의 회사에서 진행되는 인턴 프로그램
- 개인의 능력 향상과 취업을 위한 포트폴리오 제작 중심의 수업 진행
- MOU 업체와의 연계를 통한 재학생 현장 실습 운영
타 계열과의 콜라보레이션
- 본교의 가장 큰 장점으로서 방송영화제작계열/유튜브제작계열과의 협업을 통해
방송영화 콘텐츠 제작의 기획부터 참여하여 좀 더 세밀하고 만족할 만한 수준의 컴퓨터 그래픽 작업이 가능
- 실무 중심의 수업 방식을 통해 계열 간에 이해와 작업 중의 갈등 조절 등 현장에서 느낄 수 있는 직접적이고 디테일한 부분까지 경험하며 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음
차별화된 진로지도 & 편입 지도
- 현장 전문가 출신의 교수진과 학생의 1 대 1 맞춤 전공지도 및 피드백
- 학기 중 매달 진행되는 콘텐츠제작지원 프로그램을 통한 작업자 지원 정책
- 4년제 대학 편입을 원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상명대, 호서대, 예원예술대, 청강문화산업대 등에 대한 실제 편입 사례를 들어 지도
- 매달 전공 교수님과 진행되는 피드백 클래스를 통해 학생들의 부족한 부분에 대한 서포트
자격증 | - 한국영상전문인 자격증 - GTQ 포토샵 자격증 - GTQ 일러스트 자격증 - 컴퓨터그래픽운용기능사 자격증 - 디지털영상편집 자격증 - Adobe ACA 자격증 - 컬러리스트 기사 자격증 - 퍼스널컬러 자격증 등 |
졸업 후 진로 | - 영화제작사 - 방송국 - 시각효과 프로덕션 (덱스터 스튜디오, 디지털 아이디어, PONY 등) - 방송·영화 영상 후반 컴포지터 - 채널 프로모션 영상 디자이너(OAP 디자이너) - 모션그래픽 감독 - VFX 특수효과팀 - 전시영상 디자이너 - 영상타이틀 제작 디자이너 - 광고 영상 디자이너 - 영상콘텐츠 디자이너 - 영상 편집 - 영상기획 디자이너 - 영상 편집 디지털 효과 디자이너 - 영상타이틀 편집 디자이너 - 색보정 디자이너 - 편집 특수효과 디자이너 - 비주얼 슈퍼바이저 - 종합편집감독 등 |
과목명 | |
---|---|
그래픽디자인 기초(포토샵) | 타이포그래피 제작실습 |
캘리그래피 아트웍 | 마야 3D영상디자인 |
디지털애니메이션 | VFX제작실습 |
다빈치 리졸브 : 색보정 실습 | 영화제작 D.I 실습 |
디지털채색과 디자인 | 컬러코디네이션 |
컬러 그레이딩 고급 | 시네마 4D 실습기초 |
시네마 4D 고급응용 | 모션그래픽 제작실습 |
모션그래픽 포트폴리오 Show Reel I, II | 인포그래픽 애니메이션 |
플랫 애니메이션 제작 | 2D모션그래픽 기초, 응용 |
마야 3D모션그래픽 기초, 응용 | 아트워크 디자인 제작 |
이미지 디자인 제작 | 마야 3D 모델링 |
VFX 합성기초,응용 | OAP 디자인 실습 |
디지털디자인드로잉(일러스트) | 디지털이미지 제작실습(포토샵) |
캐릭터 3D 제작실습 | 인포그래픽 애니메이션 |
모션그래픽 Show Reel 제작 |
구분 | 과목명 |
---|---|
전공 필수 | 사운드디자인 |
시나리오 I | |
영화연출 I | |
영화제작실습 I | |
영화촬영 I | |
필름편집실습 I | |
전공 선택 | CF제작실습 |
디지털비디오제작실습 | |
시나리오 II | |
영화미학 | |
TV제작실습 I | |
다큐멘터리제작실습 I | |
영화비평 | |
영화제작기획 | |
애니메이션 I | |
필름편집실습 II | |
일반 선택 | TV카메라개론 |
사진학개론 I | |
VJ제작실습 I |